
아이들은 놀다 보면 자주 넘어지기도 하고, 부딪치기도 합니다. 아무리 조심성이 있다 하더라도, 유치원이나 어린이집과 같은 기관에서는 여러 아이들이 함께 놀다 보니 생각지도 못한 상황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그러다 아이가 찢기거나 쓸린 상처(찰과상)가 나게 되면 병원을 가야 할지, 집에서 연고만 바르면 되는지 등 여러 가지 생각이 들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부모가 상처에 대해 어떤 병원(동네 병원, 1차 병원, 종합병원 응급실 등)을 가야할 지, 병원을 간다면 어떤 진료과목을 선택해야 할지와 상처 관리 방법이 어떻게 되는지 명확한 기준을 알고 있으면, 당황하지 않고 적시에 올바른 응급처치를 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아이가 상처났을 때 1) 병원진료가 필요여부, 2) 흉터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병원진료가 필요한 경우
아이가 놀다가 찢긴 상처가 난 경우에는 병원 방문을 생각하게 되는데요, 특히
1) 상처 부위가 벌어졌다거나,
2) 벌어지지 않았더라도 피부 살결대로 찢어졌거나
3) 얼굴 또는 팔꿈치 맟 무릎 관절 부위에 조금이라도 찢어진 상처가 있다면,
상처 봉합이 필요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면마취 가능한 (성형) 외과 병원 또는 대학병원 응급진료 센터 방문을 해야 합니다.
만양 쓸리거나 까진 상처 주변이 부어있거나 아이가 계속 아파 한다면, 소아 청소년과 또는 소아진료가 가능한 외과(일반외과, 성형외과, 정형외과 등)에 방문하시면 됩니다.
구분 | 상처 내용 | 방문 병원 |
찢긴 상처 | 1) 상처부위가 벌어진 경우 2) 벌어지지 않았더라도 피부 살결대로 찢어진 경우 3) 얼굴, 팔꿈치, 무릎의 관절 부위에 생긴 상처(작은상처 포함) | 상처 봉합이 필요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면마취 가능한 (성형)외과병원/ 대학병원 응급진료센터 방문 |
쓸리거나 까진 상처 | 상처 주변이 부어있거나 통증이 있는 경우 | 소아청소년과 소아진료 가능한 외과병원 (일반외과, 성형외과, 정형외과 등) |
병원에 가기 전에 부모님께서 하실 일들이 있는데, 바로 세척과 소독하기 입니다.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지혈하기
2) 깨끗한 물로 상처부위 세척하기
3) 이물질이 보이면 제거하기
4) 간단하게 소독한 후 깨끗한 거즈나 수건으로 상처부위 살짝 덮기
를 하시고 병원에 아이를 데리고 가시면 됩니다.
특히, 항생제 연고, 지혈 파우더, 습윤 밴드는 상처 상태를 보는데 방해가 되니 병원에 방문이 예정되어 있다면 사용하시면 안 됩니다.
연고나 파우더는 상처 봉합 때 제거를 해야 하기 때문에 처치 시간을 오히려 길게 만듭니다.
2. 흉터 관리 방법
상처가 난 후 아이의 흉터에 대해 걱정하게 됩니다. 특히, 얼굴에 난 상처는 아이의 인상을 다르게 보일 수 있기 때문에 부모로서 많은 고민이 되는 것이 사실입니다. 흉터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상처를 깨끗하고 촉촉하게 유지시켜야 합니다.
우선은 상처를 깨끗하게 유지시켜야 합니다. 병원 진료 후 2차 감염이 생기면 오히려 흉터가 더 커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서 소독약으로 소독을 해주셔야 합니다. 요즘에는 알코올 성분이 거의 없는 소독약을 구할 수 있습니다. 쓰기 편한 스프레이형과 스틱형 등으로 사용한다면, 아이가 따가워하지 않기 때문에 좀 더 쉽게 소독하실 수 있습니다.
상처가 촉촉하게 유지하기 위해 우리 몸은 자연스럽게 딱지가 생깁니다. 딱지의 역할은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하고, 상처가 건조해지지 않게 하는 것입니다. 밴드는 이러한 딱지의 역할을 도와준다고 보시면 됩니다. 밴드는 일반밴드와 습윤밴드로 구분됩니다.
종이에 베인 것같이 진물이 거의 없는 얕은 상처는 물로 세척/ 소독 후 항생제 연고를 바른 뒤 일반 밴드를 사용해 딱지가 없어질 때 까지 상처를 보호하시면 됩니다.
진물이 많은 넓은 상처는 딱지 형성이 잘 되지 않아 세균감염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진물 흡수를 도와주고 피부 재생을 촉진 시켜 주는 습윤밴드를 사용합니다. 습윤밴드는 상처보다 넓게 잘라서 붙이면 됩니다. 그리고 진물이 차오르면 갈아주시면 됩니다.
습윤밴드는 두꺼운 종류와 얇은 종류고 구분되어 지는데, 진물의 많은 경우 두꺼운 습윤밴드를 사용하다, 점차 얇은 것으로 바꿔 주시면 됩니다. 진물이 없어질 때까지 습윤밴드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상처 종류 | 관리 방법 |
공통 | 2차 감염이 생기지 않도록 소독약으로 소독하기 |
진물이 없는 얕은 상처(딱지 형성이 쉬움) | 소독 + 항생제 연고 + 일반 밴드 |
진물이 많은 넓은 상처(딱지 형성이 어려움) | 딱지형성이 잘 안되고 2차 감염에 취약하여 습윤밴드 사용 |
아이가 병원진료를 하고나서, 흉터 관리는 언제부터 해야 할지 궁금하실 텐데요. 흉터관리는 빨리 시작하면 할수록 좋습니다. 우선 상처봉합을 한 경우와 쓸리거나 까진 상처로 구분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1) 상처봉합을 한 경우: 실밥 제거 후 바로 흉터관리를 하시면 됩니다.
2) 쓸리거나 까진 상처인 경우: 더이상 진물이 생기지 않으면 바로 흉터관리를 하시면 됩니다.
임의로 약국에서 흉터연고를 바르지 말고, 피부과나 성형외과에서 흉터 진료를 보니 관련해서 방문진료하셔서 아이에 맞는 흉터 연고를 정하시면 됩니다.
2023.06.10 - [생활정보/육아정보] - 아이가 열이 났을 때 대처법
아이가 열이 났을 때 대처법
아이가 갑자기 열이 나면, 부모의 입장에서는 당황하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사람마다 기준이 다를 텐데 우선 발열에 대해 먼저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1. 체온 정상범위 기준 바로 알기 체온의 정
cool21th.com
2023.06.16 - [생활정보/육아정보] - 아이가 설사, 구토할 때 대처법
아이가 설사, 구토할 때 대처법
아이가 갑자기 설사, 구토를 하게 되면 부모로서는 걱정이 많이 됩니다. 우선 아이가 장염에 걸린 건지, 아니면 뭔가 잘못 먹어서 체한 것인지 여러 생각이 들죠. 그리고 당장 먹지 못하는 아이
cool21th.com
출처: Class 101의 "전문의들이 떠먹여 주는 알짜배기 육아상식"의 요약
'생활정보 > 육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의 뇌 발달을 위한 좋은 습관은 소리내어 읽는 것 (0) | 2023.06.26 |
---|---|
아이가 설사, 구토할 때 대처법 (0) | 2023.06.16 |
영유아 발달 걱정된다면, ‘아이발달지원센터‘ 무료검사 가능 (0) | 2023.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