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한 해는 메타버스의 한 해라로 볼 수 있었을 텐데요. 메타버스는 확장 가상 세계로 가상,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와 우주를 의미하는 유니버스를 합성한 용어입니다. 우리가 메타버스에 관심을 갖아야만 하는 이유는 단순한 가상 세계가 아니라 재화를 사고팔는 것처럼 현실과 같은 활동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미래 확장성을 가진 메타버스의 대표주자가 바로 NAVER Z 의 제페토입니다.
제페토 설명
우선 제페토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2018년 NAVER Z에서 출시한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나만의 3D 아바타를 만들어 다른 유저들과 소통하거나 다양한 가상현실을 경험할 수 있게 합니다. 2년 만에 누적 가입자가 3억 4000만 명을 돌파했고, 해외 사용자 비율이 90% 이상입니다. 최근 구찌, 나이키와 같은 유명 브랜드, SM, YG, JYP, 빅히트와 같은 연예 기획사와의 제휴를 통해 패션아이템 등의 디지털 굿즈를 만들어 판매합니다.
무엇보다도 파티원을 구성해서 할 수 있는 비밀 업무 수행, 외계인 가족수 세기, 도너츠 던지기, 통나무 피하기 등 다양한 게임을 제공하고 있고, 제페토 월드라고 하는 수백만 가지 맵에서 메타버스의 재미를 누릴 수 있습니다.
글로벌 유저를 보유한 제페토는 스튜디오 아이템 판매량은 6800만개가 넘을 정도로 제페토 안에서 많은 매매 활동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제페토 크리에이터 설명
이제 제페토 크리에이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페토 크리에이터라하면 제페토 어플을 이용한 아바타, 월드, 라이브 콘텐츠 생산자를 의미합니다. 각각 아이템 크리에이터, 맵 크리에이터, 라이브 크리에이터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 아이템 크리에이터: 제페토 스튜디오에 제공하는 템플릿을 이용한 2D 크리에이터, 자신만의 모델링을 제페토 스튜디오에 업로드 하여 판매하는 3D크리에이터
- 맵 크리에이터: 빌드잇 툴로 빌드잇 맵을 제작하는 빌드잇 크리에이터, 유니티 툴을 이용한 자신만으 월드를 만드는 월드 크리에이터
- 라이브 크리에이터: 라이브를 통해 팬들과 소통하고 콘텐츠를 생산하는 라이브 크리에이터, 특정팔로워 수를 달성해야 가능하다
이중에 가장 접근이 쉬운 크리에이터가 아이템 크리에이터 입니다. 그렇다면, 아이템 크리에이터의 장점은 무엇일까요?
첫 번째는 진입장벽이 낮습니다. 인터넷 매체, 교육 플랫폼에 의한 다양한 정보공유와 덜 불어 손쉬운 노하우 습득 및 적용으로 누구나 쉽게 시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는 리스크는 적지만 수익이 클 수 있습니다. 실제 옷 판매와 비교해볼 때 디지털 아바타를 판매하는 것이기 때문에 재고 관리도 없고 작업에 비해서 얻을 수 있는 금액은 상대적으로 큽니다. 세 번째는 자동 판매입니다. 판매는 실시간으로 제페토 계정을 통해서 유저가 구매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판매가 자동으로 이뤄진다. 마지막은 손쉬운 정산입니다. 특정 정산 조건만 되면 간단한 계약을 통한 출금 신청이 가능하다
아이템 크리에이터의 수익화 과정
아이템 크리에이터가 수익화 하는 과정은 1) 아이템제작 2) 승인 후 판매 3) 5000 젬 이상 판매 4) 출금 신청으로 진행됩니다. 5000 ZEM당 106 USD (47 ZEM = 1 USD)가 되고 5000 ZEM이 되어야 출금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아이템 제작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모델링 : 3D MAX 를 활용한 복장 모델링
- 맵핑 : Pt(substance painter): 제작한 모델링에 직접 색감 디자인을 추가하는 작업, Ps (Photoshop) 활용한 맵핑: Substance Painter에서 추출된 텍스쳐 후 보정하는 Photoshop
- 리깅 : 3D MAX를 활용한 복장 리깅: 몸통 움직임을 따라가게 하기 위한 리깅 작업
- 유니티 셋팅: 유니티를 통해 최종 파일 추출: 모든 작업을 완료하고 최종적으로 준비된 리소스를 세팅하고. zepeto 확장자로 추출 후 제페토 스튜디오를 통해 아바타 제출
아이템 제작하기에 앞서 아이템 기획 및 디자인을 해야 하는데 그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 방향성 제시: 전체적인 흐름을 제시하는 단계로 내가 만들고 싶은 아이템은 무엇인지 계획해야 합니다
- 통일감 구성: 중구난방 형태로 구성하면 안되고, 화려한데 심플하고, 복잡한데 단순한 형태를 생각하셔야 합니다.
- 아이템 구체화: 좋은 아이템의 공통점은 높은 디테일고 퀄리티입니다. 구체적으로 아이템에 대해 기획하셔야 합니다.
- 아이템의 포인트 강조: 무난한 아이템도 괜찮지만 나만의 아이템을 만들어 포인트를 살려야 합니다.
지금까지 제페토에 대한 설명 및 수익화 단계, 그리고 크리에티어로서는 아이템 제작자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이후 아이템 크리에이터가 되기 위한 내용으로 이어서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 글로벌 판매 1위 ZDE의 제페토 아이템 제작과 수익화
'크리에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퍼스널브랜딩: 마인드셋] The Good life : 행복해지는데 너무 늦은 것은 없다 (0) | 2023.06.20 |
---|---|
[이모티콘 크리에이터] 이모티콘 제작에 많이 하는 질문 (0) | 2023.06.18 |
[퍼스널브랜딩: 마인드셋] 워런 버핏이 생각하는 "성공에 도달하는 세 가지 방법" (0) | 2023.06.13 |